2025년 기준 중위소득 알려드립니다.(ft. 100%, 140%, 150%)
💬 우리 가족, 복지혜택 받을 수 있을까요? 기준 중위소득만 알면 됩니다
정부 복지나 지원 정책을 알아보다 보면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 가구만 신청 가능
같은 문구를 자주 보게 됩니다.
그런데 ‘중위소득’이라는 개념이 생각보다 헷갈리시죠?
이번 글에서는 기준 중위소득이 정확히 무엇인지, 왜 복지 기준이 되는지, 그리고 내 소득이 해당 조건에 들어맞는지 쉽게 확인하는 방법까지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상황에 따라 혜택 가능 여부가 달라지기 때문에, 나와 우리 가족에게 맞는 방향을 전문가와 함께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기준 중위소득이란?
먼저 기준 중위소득이란 무엇일까요?
간단히 설명드리면, 전국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즉, 중위소득 100%는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정확한 ‘중간값’이며, 평균과는 다릅니다.
예: 1인가구의 중위소득이 239만원이면, 우리 가구가 매달 세전소득 239만원이라면 중위소득 100%에 해당합니다.
이 기준은 고소득층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정부는 복지정책에서 ‘평균소득’이 아닌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원 수별)
2025년 보건복지부 기준에 따라,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 100%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구원 수 | 중위소득 100% (월 기준, 세전) |
1인 가구 | 2,392,013원 |
2인 가구 | 3,934,126원 |
3인 가구 | 5,025,529원 |
4인 가구 | 6,093,859원 |
5인 가구 | 7,109,490원 |
6인 가구 | 8,062,378원 |
7인 이상 | 1인 증가 시마다 +92만원씩 추가 |
복지정책마다 ‘중위소득 100% 이하’, ‘140% 이하’, ‘160% 이하’ 등 기준이 다르며, 해당 퍼센트를 곱해서 소득 조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중위소득 140%는 약 853만원, 160%는 약 975만원이 됩니다.
📌 내 소득은 어느 구간에 해당할까? 건강보험료로 확인하세요
중위소득은 ‘세전 기준’이므로 내 월급 명세서만으로는 알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국민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을 활용하면 내 소득 구간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를 통해 확인 가능한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40% 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 기준)
가구원 수 | 월 소득 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
1인 가구 | 3,349,000원 | 118,821원 이하 |
4인 가구 | 8,537,000원 | 311,031원 이하 |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60% 건강보험료 (직장가입자 기준)
가구원 수 | 월 소득 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
1인 가구 | 3,828,000원 | 136,981원 이하 |
4인 가구 | 9,757,000원 | 354,964원 이하 |
이처럼 건강보험료 납부 내역만으로도 내가 복지 수급 대상인지 어느 정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 중위소득은 복지뿐만 아니라 세금, 금융, 교육 등에도 쓰입니다
많은 분들이 기준 중위소득이 복지정책에서만 쓰이는 것으로 오해하시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정책과 제도의 기준이 됩니다.
대부분 ‘중위소득 100~160% 이하’ 여부에 따라 자격이 갈리기 때문에, 정확한 소득 구간 파악은 필수입니다.
📌 소득 계산 시 주의할 점
중위소득 계산 시, 다음과 같은 점들을 주의해야 합니다:
📌 누구에게나 맞는 복지 플랜은 없습니다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지원 여부를 판단한다 해도, 복지 서비스마다 기준은 제각각입니다.
또한 동일한 소득 수준이라도 가구 구성, 나이, 질병, 재산 등에 따라 지원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복지로의 모의계산 서비스도 활용하실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재무 컨설턴트와의 상담을 통해 전체적인 가계 플랜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다양한 복지혜택을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절세 + 소득보전 + 지원금 활용까지 연계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지금, 나에게 맞는 복지 플랜을 함께 세워보세요
2025년 상속세 개정안, 이렇게 달라집니다! 지금부터 똑똑하게 준비하세요 (0) | 2025.04.04 |
---|---|
알바생도 예외 없다! 4대보험, 반드시 알아야 할 기준과 절차 (3) | 2025.04.01 |
2025년 최저임금 인상, 내 월급과 연봉은 어떻게 바뀔까? (2) | 2025.03.31 |
가족 일상배상책임 보험,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정보(ft. 누수, 가족배상) (3) | 2025.03.31 |
내 퇴직금 실수령액 알아보기(ft.퇴직금 세금 계산기/퇴직금 계산기) (4) | 2025.03.3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