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단리 vs 복리

금융지식

by 이곳주인장 2022. 7. 15. 17:19

본문

728x90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은행, 보험사에 저축성 금융상품을 가입하곤 합니다.

저축성 금융상품에는 적금, 예금, 연금보험 등이 있습니다.

이때, 금융서비스에는 이자가 발생합니다.

 

이자에는 단리와 복리가 있습니다.

오늘은 단리와 복리. 그리고 복리 중에서 월복리, 6개월 복리, 월 복리에 대해 비교해 보겠습니다.

 

연이율, 경과연수 등을 이용하여 만기수령액을 사전에 계산할 수 있습니다.

즉, 원금은 S, 연이율은 r, 경과년수는 k라고 할 때, 이자계산방식에 따른 만기수령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원금이 100만원, 연이율은 10%, 만기가 3년인 경우 만기수령액은 이자계산 방식에 따라 각각 아래와 같이 달라집니다.

정기적금의 경우 월납입금은 c, 납입개월수는 n, 연이율은 r 이라고 할 때 만기수령액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적금 만기수령액 = 납입원금 + 이자  =

예를 들어 월납입액이 10만원, 연이율이 10%인 정기적금을 24개월간 납입할 경우 만기 수령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적금만기수령액 = 

265만원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위에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동일한 투자기간일 경우 만기 수령액의 크기 비교하면

월복리 > 6개월 복리 > 연복리 > 단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저축을 목적으로 하는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때는 복리를 이용하면 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